안녕하세요. 창원에 서식하고 있는 BIG MAN입니다. Windows을 설치해서 사용 중에 포맷을 하기 전에 내 운영체제의 ProductKey(CDKEY)를 알고 있어야 할 때가 있습니다. 이런 경우 ProductKey를 확인하는 몇 가지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주의) 포스팅되는 모든 글은 게시자의 주관적인 관점이 포함되어 있으며, 절대적인 가이드가 아닙니다. 포스팅 글을 참조 후 발생되는 모든 책임은 본인에게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 브랜드 PC의 경우 BIOS에 OEM Key가 입력되어 있습니다. 브랜드 PC의 경우 공장 출하 시부터 BIOS에 OEM ProductKey를 입력하여 외부에 별도의 표시 없이 Windows 10 스티커만 붙여져 있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물론 FreeDOS 버전의 ..
안녕하세요. 창원에 서식하고 있는 BIG MAN입니다. 앞서 SAMSUNG Portable SSD T5 소개와 함께 실제 사용에 있어서 어느 정도의 성능을 보이는지 알아보았는데요, 다양한 크기 파일의 읽기 성능은 SATA3 SSD에 버금가는 성능을 보여준 것을 확인할 수가 있었습니다. 그럼 Windows 10 부팅 성능은 어느 정도 될까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SAMSUNG Portable SSD T5에 Windows to GO를 설치하는 방법과 SAMSUNG Portable SSD T5에서 부팅 성능이 SATA3 SSD, NVMe SSD와 어느 정도 차이가 나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SAMSUNG Portable SSD T5 개봉기와 성능에 관한 포스팅은 아래 링크를 참조 바랍니다. 2020/03/2..
안녕하세요. 창원에 서식하고 있는 BIG MAN입니다. Windows에서 VMware을 사용하여 macOS Catalina 10.15를 설치하면 발생하는 오류 문의가 잦은 편이라 기억나는 내용을 정리하여 드립니다. VMware을 이용한 설치방법은 아래 링크를 참조 바랍니다. 2019/11/16 - Windows에서 macOS Catalina 10.15.1 설치하기-해킨토시 준비를 위한.. Windows에서 macOS Catalina 10.15.1 설치하기-해킨토시 준비를 위한.. 안녕하세요. 창원에 서식하고 있는 BIG MAN입니다. 이 포스팅은 hackintosh 관련 글을 올리기 전에 필요한 내용이기도 하고, 부비님께서 문의도 주셔서 겸사겸사 올리게 되었어요.^^ 어려운 내용이 아니라 간단하.. ki..
안녕하세요. 창원에 서식하고 있는 BIG MAN입니다. 오늘은 의외로 모르는 분들이 많아서 간단한 팁하나 올립니다. 요즘 듀얼 모니터 많이쓰시죠. 처음 Windows를 설치하면 흔한? 바탕화면이 모든 모니터의 기본 바탕화면이 되었습니다. 이 바탕화면을 각각 모니터별로 다르게 설정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매우간단해서 짧은 포스팅이 될 것 같습니다.^^ 테스트 완료 운영체제 : Windows 10 RS1, Windows 10 RS5, Windows 10 19H1(1903), Windows 10 19H2(1909) (RS1에서 가능했기 때문에 이후 버전 모두 적용가능 할 것 같습니다.) ✅모니터 별 바탕화면 설정 바탕화면에서 오른쪽 마우스를 클릭하고 "개인 설정"을 클릭하거나 "Windows key ..
안녕하세요. 창원에 서식하고 있는 BIG MAN입니다. 2년전 즈음.. Windows 10 RS3 버전(Windows 7 ~ Windows 10 RS3)을 기준으로 "Windows 사용자 폴더 위치 변경"하는 방법의 글을 올리게되었습니다. 해당 방법은 당시 RS3 버전까지는 아무런 문제가 없었지만, 이 후 Windows 업데이트 등으로 인해 해당 방법으로 사용자 폴더 위치를 변경하게되면, 시작 메뉴가 뜨지않고 Microsoft Store, Microsoft Edge..등 몇몇 기본앱이 실행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하였습니다. 10월 중에 출시예정인 19H2 RTM 버전에서도 동일한 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확인하였습니다. 우선 급한대로 땜빵(?)용 추가 내용을 올리기는 했지만, 정상적인 방법이 아니라 Windo..
Windows를 설치 할 때 하드디스크가 1개라면 보통은 2개 파티션으로 나눠서 설치하게 됩니다. 첫번째 주파티션(C:)에는 OS를 설치하고 두번째 주파티션(D:)에는 데이터를 저장하게 됩니다. 그런데 '사용자 폴더'의 경우는 OS가 설치되어있는 동일한 파티션에 위치(C:)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사용자가 바탕화면, 문서등에 중요한 데이터를 넣어 놓고, 실수로 OS를 클린 설치(포맷)하는 경우가 종종있습니다. 이럴경우를 대비하여 두번째 주파티션(D:)에 '사용자 폴더'를 옮겨 놓는다면, 최소한 '사용자 폴더'에있는 데이터를 삭제하는 일은 없을 것입니다. 추가 내용 : 아래 방법은 Windows 10 구버전에서는 가능했으나, 구버전에서도 업데이트를 한 경우라면 권한 문제로 정상작동이 안 될 수가있습니다. W..
안녕하세요. 창원에 서식하고 있는 BIG MAN입니다. Internet Explorer 11 또는 Edge, Chrome 브라우저를 사용하면서 다운로드한 수많은 파일들... 정말 중요한 파일이 포함되어 있을 수도 있고, 다시 다운로드하기에는 용량이 너무 커서 삭제되면 아쉬운 파일(?)들도 많이 존재합니다. 이런 파일들은 보통 운영체제 재설치 시 삭제되는 경우가 많은 편입니다. 그래서 이번 시간에는 처음부터 BACKUP용 디스크에 다운로드할 수 있도록 Windows 10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Internet Explorer 11과 Edge, Chrome의 다운로드 폴더 변경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Internet Explorer 11 다운로드 폴더 변경 개인 사용자는 Chrom을 가장 많이 사..
안녕하세요. 창원에 서식하고 있는 Big Man입니다. ✅간단한 정보를 가져왔는데요, 이제 Microsoft Edge 에서는 전자책 확장자인 .ePub를 더이상 읽을 수 없게되었습니다. 관련내용은 진난달 8월에 업데이트되었습니다. Microsoft Edge로 .ePub 전자책을 보셨던 분이라면 이미 관련 내용을 접했을 것 같습니다. Microsoft는 정확하게 언제 부터 지원을 종료한다는 말은 없었으며, 향후 몇 개월 안이라고 명시해 놓았을 뿐입니다. 아마도 10월 4일 이후에 발표될 19H2 발표와 함께 해당 기능은 삭제되어 역사속?으로 사라지지 않을까 싶습니다. 현재시간 2019년 09월 30일 까지는 Edge에서 .ePub 파일은 읽을 수는 있지만 "Microsoft Edge에서 더 이상 .epub..
안녕하세요. 창원에 서식하고 있는 Big Man입니다. "윈도우 10 설치 후 해야 할 것들"의 마지막 3편입니다. 아무리 고성능 컴퓨터라도 Windows를 사용하다면 하드웨어 성능이 전부가 아니라는 것을 체감하게 되는데요, 컴퓨터를 좀 사용한다는 사용자들 이하는 Windows 10 성능 올리는 방법과 알고 있으면 콧대 높아지는 기타 설정에 대해 보겠습니다. 참고로 저는 최적화 프로그램을 절대 사용하지 않습니다. 굳이 이유를 말하자면 최적화 앱은 대부분 무료이고, 설치시 몰래 설치되는 각종 애드웨어 때문입니다. 컴퓨터 초심자분들의 경우 애드웨어를 삭제하기 위해 또 다른 무료 프로그램을 설치하고, 또 새로운 애드웨어가 설치되어 거대한 숲 속에서 길을 잃어버리는 경우가 엄청 많이 있습니다. 그래서 저는 애드..
안녕하세요. 창원에 서식하고 있는 Big Man입니다. 더디여 Windows 10 설치의 마지막 단계까지 왔습니다. 고생 많이 하셨습니다. 이번 시간에는 Windows의 불필요한 기능으로 인하여 하드웨어의 성능을 저하시키는 기능을 끄거나, 필요한 기능을 활성화하여 하드웨어 성능을 최적하는 몇 가지에 대해 이야기해보겠습니다. 최적화하기 부분은 고성능 컴퓨터라도 해주시는 것이 필요한 곳에 성능을 집중할 수 있는 좋은 방법이고, 하드웨어의 자원이 비교적 제약적인 노트북이나 태블릿 같은 경우라면 반드시 해주시는 것이 좋을 것입니다. 그럼 최적화를 시작해 볼까요~🧞♂️🧞♀️🦸🏻♂️ 디스크 용량 절약 및 관리 ✅시스템 복원 끄기(SSD, HDD 적용) Windows 10에 기능 중 사용 중 문제 발생했을 경우..
안녕하세요. 창원에 서식하고 있는 Big Man입니다. Windows 10 설치 USB 만들기 부터 프리도스(Free DOS) 노트북 윈도우 10 설치 방법 - Windows 10 1903(19H1) 까지 잘 설치하셨다면 아마 프리도스나 Linux 화면이 아니라 Windows 10 바탕화면과 마주 보고 있을 텐데요, 그럼 이번 시간에는 Windows 10 설치 후 해야 할 것들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첫 번째, 장치드라이브 설치 : Windows 10 뿐만아니라 그 하위 버전의 운영체제를 설치 하였더라도 가정 먼저 해야 할 일이 바로 "장치 드라이브(Device Drive)"를 설치하는 일입니다. 가끔 지인들이 "컴퓨터 A/S를 받았는데도 부팅 속도가 너무 느리다", "게임이 안되거나 화면이 끊긴다"는 ..
안녕하세요. 창원에 서식하고 있는 Big Man입니다. 이번 포스팅은 "Windows 10 설치 USB 만들기"에 이어서 운영체제 미포함 또는 프리도스(또는 Linux)가 설치된 노트북을 구매하신 분들을 위한 Windows 설치 가이드입니다. 프리도스 노트북뿐만 아니라 윈도우를 다시 설치하고 싶으신 분이라면 큰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프리도스의 장점이라면 정품 윈도우의 가격이 빠지기 때문에 동일한 스펙의 노트북보다 대략 10만 원 정도 저렴해진다는 것입니다. 하지만, 노트북 구매 후 Windows 10을 사용자가 직접 설치(각종 장치 드라이브까지....🤮) 해야 한다는 부담감이 있죠. 그놈에 돈 10만원 때문에...... 😭😭~~ 프리도스가 설치된 노트북을 구매 후 부팅을 하게 되면 아래와 같이 전~혀..
안녕하세요. 창원에 서식하고 있는 Big Man입니다. 2년 전에 Windows 10 RS1(1607) 설치 USB 디스크 만드는 방법을 "MS Media Creating Tool"을 이용하여 1차 포스팅하였고, 이후 Windows 10 RS3(1709) Fall Creators Update가 출시된 후 Windows 10 설치 USB 만들기를 "rufus"를 이용하여 포스팅해드렸습니다. Windows 10 RS3(1709) 출시 후에도 Windows 10 RS4(1803), Windows 10 RS5(1809)를 출시하였지만, 윈도우 10 설치 USB 만들기 방법에는 큰 변화가 없었습니다. 가장 최신작인 코드네임 19H1(1903)(코드네임이 "Redstone"에서 변경되었습니다. ) 역시 큰 변화는 ..
앞서 Windows 최고관리자 계정인 Administrator의 계정을 활성화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이번 시간에는 로컬 사용자 계정의 잃어버린 암호를 초기화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이 방법은 Active Directory, 도메인 또는 Microsoft 계정의 암호는 초기화할 수 없습니다. 로컬 계정의 암호만 초기화 및 변경할 수 있습니다. Windows 사용자 암호 초기화 및 변경 방법은 앞서 포스팅했던 적이 있습니다. 두 가지 방법 중 편하신 방법을 선택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개인적으로 앞서 포스팅했던 방법이 더 좋은 것 같습니다. Windows 7부터 Windows 10 RS5(빌드 1903) 버전까지 모두 테스트 결과 문제없이 잘 변경됨을 확인하였습니다. 2018/03/02 ..
Windows 10 설치 후 관리자(Administrator)는 기본적으로 비활성화 상태로 존재하게 됩니다. 비활성화되어있지만, 관리자 그룹(Administrators)에 소속되어있으며, 설치 시 등록한 사용자 역시 관리자 그룹(Administrators)에 소속됩니다. 아래 캡처와 같이 관리자(Administrator)는 활성화 상태가 아니더라도 그룹 구성원은 관리자 그룹(Administrators)에 소속되어있습니다. 사용자 리스트 확인 및 사용자 상태 확인하기 만약 내가 사용 중인 또는 어떤 사용자의 상태를 위 캡처처럼 확인하고 싶다면 명령 프롬포트(CMD)에서 아래 명령을 실행하면 됩니다.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하지 않아도 됩니다.) net user // 사용자 이름 확인 명령 net user /..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
새 글 쓰기 |
W
W
|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