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nBuilder로 쉽게 WinPE 만들기 - 2. WinPE 만들기 WinBuilder를 사용하기 위한 보안 설정과 Windows ISO 파일 준비 및 WinBuilder 최신 버전까지 준비가 완료되었다면 사실상 WinPE 만들기는 완료된 것이나 다름이 없습니다. 그럼 천천히 살펴보겠습니다. 2022.08.13 - WinBuilder로 쉽게 WinPE 만들기 - 1. WinBuilder 준비하기 WinBuilder로 쉽게 WinPE 만들기 - 1. WinBuilder 준비하기 WinBuilder로 쉽게 WinPE 만들기 - 1. WinBuilder 준비 이전에 포스팅했던 WinBuilder로 WinPE 만들기를 최근 버전에 맞게 정리하는 차원에서 새롭게 포스팅하고자 합니다. 복잡하고 어려운 것이 없기..
WinBuilder로 쉽게 WinPE 만들기 - 1. WinBuilder 준비 이전에 포스팅했던 WinBuilder로 WinPE 만들기를 최근 버전에 맞게 정리하는 차원에서 새롭게 포스팅하고자 합니다. 복잡하고 어려운 것이 없기 때문에 아래 가이드만 따른다면 쉽게 WinPE을 만들 수 있습니다. 먼저 WinBuilder 준비부터 해 보겠습니다. * 설명 환경 : Windows 11 Pro 반드시 먼저 해야 할 것 - "바이러스 및 위협 방지" 끄기 아주 중요한 부분입니다. WinBuilder에 포함돼있는 일부 프로그램이 Windows 보안에서 바이러스로 인식하여 진행할 수 없게 됩니다. 단순히 WinBuilder 프로그램 압축 해제만 해도 바이러스로 오인하게 됩니다. 따라서, Windows 보안에서 "바..
BitLocker를 WinPE에서 해제하는 방법 기업에서는 컴퓨터 보안을 위해 사내 컴퓨터의 USB 디스크 사용을 제한하는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보통 읽기 전용으로 설정해 두고, 데이터를 USB 디스크에는 복사할 수 없도록 설정해 놓습니다. 그리고는 BitLocker를 자동 잠금 해제 형태로 설정해 놓고, 계정으로 로그인을 했을 때 자동으로 BitLocker 잠금이 해제됩니다. 시동 복구 모드로 진입할 때도 BitLocker의 복구 키를 입력해야 해당 디스크에 접근할 수가 있죠. 그래서 자료 복사가 불가능하게 됩니다. 하지만, 전혀 방법이 없는 것은 아닙니다. * 설명 환경 : Windows 11 Pro 21H1, Windows ADK & Windows PE Windows 11 22H2 10.0.226..
이전 포스팅에서 WinPE 만들기에 대해서 알아보았는데, 만드는 방식이 COMMAND LINE 방식이고 부팅 후에도 CMD 창 하나만 덜렁 뜨다보니 활용도가 떨어지는 것 같았습니다. 실제로 어떤분께서 CMD 창으로 부팅된다는 물음이 있어서 이번에는 WinBuilder를 이용하여 WinPE를 만드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 보겠습니다. 2017/03/17 - 윈도우 PE 만들기 - WINDOWS PE 부팅 USB 디스크 만들기 PE 5.0 2017/03/18 - 윈도우 PE 만들기 - 윈도우 PE 드라이버 추가 하기 WINDOWS PE 2022-08-15 / 최신 버전은 아래 링크를 참조 바랍니다. 2022.08.13 - WinBuilder로 쉽게 WinPE 만들기 - 1. WinBuilder 준비하기 2022..
윈도우 PE 부팅 USB 디스크 만들기 - WINDOWS 8.1 ADK (PE 5.0) 사용 윈도우 PE는 다양하게 사용 할 수있는 최고의 툴인 것 같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윈도우 PE USB 부팅 디스크를 만들어 보도록 하겠습니다. 서드 파티 앱을 사용하여 실제 윈도우와 똑같이 만드는 방법도 있지만, 저는 개인적으로 안전하고 빠른 것을 원하다보니 오리지널을 고집하는 편입니다. 제작 방법역시 MS에서 제시하는 메뉴얼을 최대한 따르고 있습니다. 저는 윈도우 8.1 ADK를 사용하여 제작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윈도우 10 RS ADK도 있는데 굳이 윈도우 8.1 ADK를 사용하는 이유는 딱하나 있습니다. 바로 장치 드라이버 때문입니다. 출시된지 너무 오래된 장치가 아니라면 WINDOWS 10 용 시스템 드라..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
새 글 쓰기 |
W
W
|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