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SCDIMG.EXE로 BIOS, UEFI 다중 부팅 가능한 Windows ISO 파일 만들기 "OSCDIMG.EXE를 이용하여 부팅 가능한 Windows ISO 파일 만들기"에서는 UEFI 모드만 가능한 ISO 파일을 만드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Legacy BIOS로 부팅은 현재 일반 사용자들은 거의 사용되지 않기 때문이죠. 현재 출시되는 모든 컴퓨터의 펌웨어는 UEFI를 100% 사용한다고 봐도 무방합니다. 그렇지만, 아직도 쓸만한 컴퓨터 중에는 Legacy BIOS로 부팅되는 경우가 종종 있기 때문에 찾는 분들이 있는 것 같습니다. 그래서 이번 페이지에서는 OSCDIMG.EXE를 이용하여 MBR 부팅이 가능 ISO 파일을 만드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MBR 부팅, Legacy B..
Windows 11 Windows 10 설치 USB 디스크 BIOS 모드 부팅 가능하게 설정 "Windows 11 Windows 10 통합 설치 USB 디스크 만들기"에서 소개했던 내용은 UEFI 모드만 사용했을 경우, UEFI 버전과 상관없이 호환성을 최대화시킨 Windows 설치 USB 디스크를 만드는 방법입니다. 사실상, 이제는 최종 사용자는 UEFI 모드만 사용하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Legacy BIOS 모드 부팅 설정은 제외를 시켰던 것입니다. 잘 사용하지 않는 방식을 복잡하게 추가할 필요가 없었기 때문이죠. 그런데 UEFI 모드와 BIOS 모드 듀얼 부팅이 가능한지 물어보시는 분이 계셔서 간단하게 알아보겠습니다. * MBR 부팅, Legacy BIOS 모드 부팅, BIOS 모드 부팅은 모두 ..
⌜ WINDOWS 11 설치를 위한 MBR 디스크를 GPT 디스크로 변환하기 ⌟ 안녕하세요. 창원에 서식하고 있는 BIG MAN입니다. "WINDOWS 11 설치를 위한 MBR 디스크를 GPT 디스크로 변환하기"를 다른 제목으로한다면 "WINDOWS 11 설치를 위한 Legacy BIOS(CSM) 방식을 UEFI 방식으로 변경하기" 정도가 될것 같습니다. 그리고, 이번 포스팅은 앞서 포스팅한 "Windows 11 설치를 위한 TPM 설정, 지원되는 CPU 확인"에서 레거시 또는 CSM 모드에서 UEFI 모드로 변경하는 방법에 대해 포스팅을 약속했기 때문에 자세하게 한번 다뤄보기로 했습니다. 내용이 어렵지는 않습니다. 2021.10.14 - Windows 11 정식 버전 다운로드 및 설치 USB 만들기 W..
⌜Windows 11 설치를 위한 TPM 설정, 지원되는 CPU 확인⌟ 안녕하세요. 창원에 서식하고 있는 BIG MAN입니다. Windows 11 발표 후 가장 핫한 이슈는 "TPM(Trusted Platform Module)" 이 아닐까 싶습니다. 이 모듈이 없다면 공식적으로 설치가 불가능하죠. 물론 비공식적으로 우회하는 방법은 이미 많은 사용자들이 공유를 하고 있기 때문에 설치가 전혀 불가능한 것은 아니지만, 디지털 세상의 장점이 단점이 되어버린 세상을 사는 사용자들을 위한? 어쩔 수 없는 조치가 아닌가 싶습니다. 주의) 포스팅되는 모든 글은 게시자의 주관적인 관점이 포함되어 있으며, 절대적인 가이드가 아닙니다. 포스팅 글을 참조 후 발생되는 모든 책임은 본인에게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참고로 Micr..
⌜ USB 부팅 시 동일 이름의 장치가 두 개 보이는 이유 ⌟ 안녕하세요. 창원에 서식하고 있는 BIG MAN입니다. 오늘 포스팅은 잠시 쉬어가는 마음으로 읽어주시면 됩니다. 복잡한 이야기도 아니고, 대단한 이야기도 아니거든요. Windows를 재설치하기 위해서 Windows 설치 USB로 부팅을 하게 되면 궁금한 현상이 보이게 됩니다. 분명히 PC의 본체에는 Windows 설치 USB가 하나만 삽입되어 있는데, BOOT MENU에서 동일한 부팅 장치의 이름으로 2개가 보이는 것입니다. 이건 왜 그럴까요? 주의) 포스팅되는 모든 글은 게시자의 주관적인 관점이 포함되어 있으며, 절대적인 가이드가 아닙니다. 포스팅 글을 참조 후 발생되는 모든 책임은 본인에게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 UEFI의 CSM Sup..
안녕하세요. 창원에 서식하고 있는 BIG MAN입니다. HP 470 G7 17인치 노트북의 BIOS 진입 펑션키 및 기타 기능키와 UEFI로 Windows를 설치하는 방법에 대해 간단하게 알아보겠습니다. HP 470 G7의 경우 모델에 따라서 상이하겠지만, 여기서 설명드리는 모델은 Windows 10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FreeDOS 모델입니다. Windows 10 정품을 제외하고 구매하기 때문에 가격적인 측면에서 유리하죠. 하지만, 사용자는 사용할 운영체제를 선택하고, 또 설치와 각종 드라이브까지 모두 세팅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습니다. 이와 관련하여 좀 더 자세한 내용은 BIG MAN의 블로그에 포스팅한 Windows 10 USB 설치 디스크 만들기부터 Windows 10 설치하기, 장치 드라이브 ..
삼성 저가형 노트북 NT450R5E 모델의 USB 부팅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기존에 장착되어있는 500GB HDD를 제거하고 SSD로 교체하는 방법도 잠시 알아보겠습니다. 삼성 구형 모델의 경우 대부분 HDD, RAM 교체 방법이 비슷합니다. 아래 방법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M3 나사를 풀수있는 정도의 십자 드라이브가 필요하고, 윈도우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미리 "윈도우 USB 설치 디스크"를 준비해야 합니다. 윈도우 USB 설치 디스크를 만드는 방법은 아래 링크를 참조 바랍니다. 2017/03/08 - 윈도우 USB 만들기 - 부팅디스크 만들기 2017/11/16 - Rufus를 이용한 윈도우 USB 부팅 디스크 만들기 - Windows 10 Fall Creators Update : 레드스톤 3 클..
앞서 포스팅한 "윈도우 7 8.1 10 MBR/UEFI 부팅 오류 복구 - Legacy/CSM BIOS 편”에 이어서 UEFI 부팅 복구에 대해 알아 보겠습니다. Legacy/CSM BIOS 부팅 복구 방법보다 간단하고 빠르게 복구가 가능합니다. 이전 포스팅은 아래 링크를 참조 바랍니다. 윈도우 7 8.1 10 MBR/UEFI 부팅 오류 복구 - Legacy/CSM BIOS 편 UEFI 부팅 복구 UEFI 컴퓨터에 Windows 를 설치 할 경우 기본적으로 GPT 파일 테이블을 사용하게 됩니다. 이것을 이용하여 앞서 포스팅 내용 중 Legacy/CSM BIOS 부팅인지 UEFI 부팅인지 확인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기도 하였습니다. 그리고 컴퓨터에는 한개의 “EFI 시스템 파티션”이 반드시 존재해야 합니다..
MBR(Master Boot Record) 또는 UEFI(Unified Extensible Firmware Interface - 단일 확장 펌웨어 인터페이스) 부팅 영역이 손상되었을 경우 복구하는 방법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경험상으로는 아래 방법으로 99%(너무 자신만만하네요...ㅎㅎ) 해결되었습니다. 시스템에 전원이 인가되면 Legacy BIOS, CSM BIOS 또는 UEFI BIOS는 각종 장치들을 초기화하고 이상유무를 검사(POST, Power-On Self-Test)하게됩니다. 이 과정에서 문제가 없다면, 각 BIOS의 부팅 방식 또는 설정에 따라서 부팅이 됩니다. 첫번째는 Legacy BIOS로 부팅되는 경우 MBR 파티션 테이블 형식의 NTFS/FAT32 파일 시스템에서 운영체제를 부팅하..
HP에서 20만원대 저가형 노트북 라인 HP Stream 11에서 UEFI(Unified Extensible Firmware Interface, 단일 확장 펌웨어 인터페이스) 설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저가형 노트북이라 정보가 상대적으로 적은편이고, 컴퓨터에 익숙하지 않은 사용자 분들이 많이 사용하는 편이죠. 그렇다보니 초기에 설치된 Windows 8 Bing 을 수년간 그냥 사용하는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오늘 노트북 2대를 고쳐드렸는데요, Windows 8.1 과 Windows 8 Bing을 4~5년째 그대로 사용하고 있었습니다. 이런경우 보통 OS 만 재설치하게 되면 무리없이 몇년을 더 버텨? 낼 수있는데 버리는 경우도 종종있습니다. 자가수리로 어려운 시기 잘 버텨봅시다!!! 하하하~~ 컴퓨터에 ..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
새 글 쓰기 |
W
W
|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